경제 퀴즈, 난이도 쉬움 [퀴즈로 배우는 시사.경제]
기획재정부의 경제배움이e가 선보이는 시사 퀴즈! 경제, 경영, 금융 주제의 10가지 문제로 여러분의 지식을 테스트해보세요. 정확한 정답과 함께 각 질문에 대한 해설도 제공돼, 재미와 학습이 가득한 콘텐츠입니다. 지금 도전해보고 시사, 사회, 과학, 경영, 공공, 금융 분야에서 더 나은 이해를 키워보세요!
자료출처:기획재정부 경제배움이e 경제배움e (econedu.go.kr)
경제 10 문제
Q1. ( )은(는) 악화(소재가 나쁜 화폐)와 양화(예컨대, 금화)가 동일한 액면 가치를 갖고 함께 유통될 경우, 악화만이 그 명목가치로 유통되고 양화는 소재가치 때문에 사람들이 가지고 내놓지 않으므로 유통되지 않고 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것은 무엇인가?
정답 1번.
그레셤의 법칙해설그레셤의 법칙은 “악화는 양화를 구축한다(Bad money drives out good)”라는 말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말은 16세기 영국의 재무관 그레셤이 악화를 개주하여 외국환의 지배권을 장악하려는 구상에서 엘리자베스 여왕에게 진언한 편지 속에 나온 말인데, 1858년 맥클로드(H.D. Macleod)가 ‘그레셤의 법칙’이라 명명하였다.
Q2. 경기 불황기에 최저 비용으로 품위를 유지하고 소비자의 심리적 만족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상품이 잘 판매되는 현상을 이르는 말은?
정답 3번.
립스틱 효과(Lipstick Effect)해설립스틱효과 : 경기 불황기에 최저 비용으로 품위를 유지하고 소비자의 심리적 만족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상품이 잘 판매되는 현상. 특히 여성 소비자의 어려운 경제여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저렴한 립스틱만으로도 만족을 느끼며 쇼핑을 알뜰하게 하는 데에서 유래된 말이다. ‘경기가 나쁘면 여자들이 빨간 립스틱을 선호한다’는 속설도 있는데, 이는 화장품 지출을 줄이려는 여성이 빨간색 계통의 립스틱 하나만으로도 화사한 얼굴을 연출할 수 있어서 빨간색 립스틱을 선택한다는 해석이다. 링겔만 효과 : 집단크기가 커질 수록 집단에 속하는 구성원 개인의 1인 공헌도가 점점 떨어지는 현상. 메기 효과 : 막강한 경쟁자의 존재가 다른 경쟁자들의 잠재력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뜻한다. 메기 한 마리를 미꾸라지 어항에 집어 넣으면 미꾸라지들이 메기를 피해 다니느라 생존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데서 유래. 부의 효과 : 자산효과라고도 불리며, 부나 자산의 가치가 증대되는 경우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를 의미한다.
Q3. 사업자가 다른 사업자와 공동으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 거래조건, 생산량 등을 결정하거나 제한함으로써 경쟁을 제한하는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정답 1번.카르텔(담합)해설카르텔(담합)은 사업자가 다른 사업자와 공동으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 거래조건, 생산량 등을 결정하거나 제한함으로써 경쟁을 제한하는 행위이다.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공동행위에 해당하며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결정되어야 할 가격이나 거래조건을 사업자들이 인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시장경제질서를 왜곡하고 소비자들의 후생을 저해한다. 트러스트는 기업합병, 리니언시는 담합행위를 자진신고하면 면제가 되는 제도, 콘체른은 각종 산업에 다각적으로 독점력을 발휘하는 거대한 기업집단을 의미한다.
Q4. 영화를 통해 얻게 되는 막대한 경제효과를 일컫는다. 영화의 주인공인 ( )에서 비롯되어 ( )경제효과라고 부른다.
정답 2번.프로도해설프로도 경제효과는 영화를 통해 얻게 되는 막대한 경제효과를 일컫는다. 영화 '반지의 제왕'의 주인공인 프로도에서 이름을 딴 신생 경제용어로, '반지의 제왕' 촬영지인 뉴질랜드가 관광수입이 증대하고 국가이미지가 크게 상승한 현상에서 비롯하였다.
Q5. ( )은(는) 2006년 2월 앨런 그리스펀 뒤를 이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의장이 된 벤 버냉키(Ben Shalom Bernanke)의 별명이다. 이 별명에 걸맞게 2조 달러가 넘는 자금을 시장에 뿌려 미국 금융시장을 벼랑 끝에서 건져내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정답 1번.헬리콥터 벤해설2006년 2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의장이 된 벤 버냉키(Ben Shalom Bernanke)의 별명은 헬리콥터 벤이다. 2002년 FRB 이사로 있을 때 경제가 디플레이션 상태에 빠져들면 ‘헬리콥터로 공중에서 돈을 뿌려서라도 경기를 부양하겠다‘는 주장을 펴 '헬리콥터 벤'이라는 별명을 얻은 바 있다. 또 이 별명에 걸맞게 2조 달러가 넘는 자금을 시장에 뿌려 미국 금융시장을 벼랑 끝에서 건져내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Q6. ( ) 마켓은 제품 정보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소비자들이 속아서 살까봐 싼 값만 지불하려고 해 저급하고 쓸모없는 재화나 서비스만 거래되는 시장이다. 미국 속어로 불량품이란 의미를 가진 과일인 이것은 무엇인가?
정답 1번.레몬해설제품 정보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소비자들이 속아서 살까봐 싼 값만 지불하려고 해 저급하고 쓸모없는 재화나 서비스가 거래되는 시장. 레몬은 미국 속어로 불량품을 뜻하며, 레몬마켓에 저급한 물건들만 나오는 것은 거래 당사자간에 발생하는 정보 비대칭성 때문이다. 대표적인 레몬 마켓으로 중고차 시장이 있다.
Q7.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이 외환위기 및 금융위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1,200억 달러 규모의 공동기금을 마련하는 것을 골자로 한 통화교환협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정답 3번.치앙마이 이니셔티브해설치앙마이 이니셔티브는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ASEAN) 10개국과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이 외환위기 및 금융위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1200억 달러 규모의 공동기금을 마련하는 것을 골자로 한 통화교환협정이다. 치앙마이 협정이라고도 불린다.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동아시아의 특정국가에서 외환 부족 사태 등 금융위기가 발생한 경우 IMF 등의 국제금융협정 및 국제기관에만 의존하지 말고 아시아 국가들이 자체적으로 장치를 마련하여 스스로 위기에 대응하자는 취지에서 처음으로 논의되었다.
Q8. 다음 중 공적연금에 속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정답 4번.퇴직연금해설우리나라의 공적연금제도는 일반국민 대상의 국민연금제도와 특수직 종사자 대상의 군인연금ㆍ공무원연금ㆍ사립학교교원연금 제도가 있다. 국민연금제도는 특수직 종사자를 제외한 전국민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공적연금제도로 1988년에 도입되었다. 연금 급여의 종류는 노령연금ㆍ장해연금ㆍ유족연금 등이 있다. 공적연금제도는 사적연금과 달리 강제적 가입을 원칙으로 하고, 소득계층간 또는 세대간 소득재분배 기능을 수행한다.
Q9. 엥겔지수란 총가계 지출액 중에서 이것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이것은?
정답 1번.식료품비해설총가계 지출액 중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 일반적으로 식료품은 소득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반드시 얼마만큼 소비해야 하며 동시에 어느 수준 이상은 소비할 필요가 없는 재화이다. 그러므로 저소득가계라도 반드시 일정한 금액의 식료품비 지출은 부담하여야 하며, 소득이 증가하더라도 식료품비는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이러한 까닭에 식료품비가 가계의 총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소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1857년 독일의 통계학자 엥겔(Ernst Engel)이 가계지출을 조사한 결과 이러한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그의 이름을 따서 이러한 경향을 ‘엥겔의 법칙’, 그리고 식료품비가 가계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엥겔지수라고 부르게 되었다.
Q10. 내국민대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 ① 수입이 완료된 수입품에 동종의 국내상품보다 더 높은 내국세를 부과해서는 안된다.
- ② 정부 규제에 있어서는 내국민 대우를 제외로 한다.
- ③ 상품 구성성분 일정비율 이상 국산품을 사용하도록 강제하는 것을 금지한다.
- ④ 정부조달, 생산자 보조금, 스크린쿼터제는 내국민 대우 원칙을 예외로 인정하고 있다.
정답 2번.정부 규제에 있어서는 내국민 대우를 제외로 한다.해설내국민대우는 외국산 물품이라도 일단 수입이 완료된 후에는 자국산 물품과 동등한 대우를 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GATTㆍWTO 분쟁의 주된 제소사유로 자주 원용된다. 내국민 대우는 수입품에 대해 동종의 국내상품에 부과하는 것보다 더 높은 내국세 및 기타 과징금을 부과해서는 안 되며, 정부 규제에 있어서도 차별해서는 안 되며, 국내 법 규제로 상품 구성성분의 일정량 또는 일정비율 이상 국산품을 사용하도록 강제하는 것도 금지하고 있다. 내국민 대우 원칙 위반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비교대상이 되는 수입품과 국산품이 동종물품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원칙 예외가 인정되고 있는데, 정부조달, 생산자 보조금, 스크린쿼터제 등이 있다.
'시사경제퀴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퀴즈, 난이도 쉬움 [퀴즈로 배우는 시사.경제] (1) | 2024.01.25 |
---|---|
퀴즈로 배우는 시사.경제, [주제:경제] 난이도 쉬움 (0) | 2023.12.19 |
퀴즈로 배우는 시사.경제 [주제:경제] 난이도 매우 어려움 (0) | 2023.12.16 |
퀴즈로 배우는 시사.경제 [주제:경제,경영,금융] 난이도 매우 어려움 (0) | 2023.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