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경제퀴즈

퀴즈로 배우는 시사.경제, [주제:경제] 난이도 쉬움

by 몽비우스 2023. 12. 19.

퀴즈로 배우는 시사.경제, [주제:경제] 난이도 쉬움

기획재정부 경제배움이e에서 운영하는 퀴즈로 배우는 시사.경제에서 뽑아낸 문제입니다. 경제 주제로 문제 10개를 추려 보았습니다. 여러분의 실력을 테스트해 보세요. 정답은 문제를 다 풀고 나면 해설과 함께 본문 하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획재정부 경제배움이e 경제배움e (econedu.go.kr)

퀴즈로-배우는-시사경제
퀴즈로 배우는 시사경제

 

경제 10 문제

난이도 : 쉬움

 

Q1. 사업자가 다른 사업자와 공동으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 거래조건, 생산량 등을 결정하거나 제한함으로써 경쟁을 제한하는 행위를 무엇이라 하는가?

 

① 카르텔(담합)

② 트러스트

③ 리니언시

④ 콘체른

 

Q2. 1960년대 말부터 미국의 국제수지가 크게 악화돼 달러의 가치가 크게 떨어지기 시작하자 미국은 적극적인 달러방어정책을 펼친 바 있다. 이러한 정책은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일본, 중남미 등에 큰 충격을 주었고, 고정환율제에서 변동환율제로 바뀌는 전환점이 되기도 하였다. 이 충격을 일컫는 말은 당시 미 대통령의 이름을 따와서 지어졌는데, 이것은 무엇인가?

 

① 닉슨 쇼크

② 클린턴 쇼크

③ 트루먼 쇼크

④ 케네디 쇼크

 

Q3. 경제에서 두 가지 이상의 악재가 동시에 발생해 그 영향력이 더욱 커지는 현상을 지칭하는 용어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① 퍼펙트 스톰

② 버블 현상

③ 부메랑 효과

④ 재해 코스트

 

Q4. 엥겔지수란 총가계 지출액 중에서 이것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이것은?

 

① 식료품비

② 의료비용

③ 보험비

④ 주거비용

 

Q5. 짐 오닐 골드만삭스 자산운용회장이 2012년 브릭스를 대체하는 유망한 투자국으로 미스트(MIST)를 들었다. 다음 중 MIST에 속하지 않는 국가는 무엇인가?

 

① 멕시코

② 인도네시아

③ 대한민국

④ 튀니지

 

Q6. 공정무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윤리적 소비의 일환이다.

②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수출되는 상품이 주 대상이다.

③ 빈국의 생산자들이 가난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④ 특히 기술제품을 대상으로 한다.

 

Q7. ISM 제조업지수의 강점에 해당하는 것은?

 

① 매 년 설문조사를 실시해 산출하는 지수로 년별 기업의 분위기와 나아가는 방향을 비교할 수 있다.

② 미국 제조업 경제활동을 미리 볼 수 있다.

③ 생산, 고용, 원자재 공급 등 3분야에 대해 알 수 있다.

④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Q8. 특정상품의 급격한 수입 증가로부터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 수입을 제한하는 조치로 올바른 명칭은 무엇인가?

 

① 덤핑(Dumping)

② 긴급수입제한조치(Safe Guards)

③ 수출자율규제(VER)

④ 수출 보조금(Export Subsidy)

 

Q9. ( )은(는) 한번 올라간 소비 수준이 쉽게 감소하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빈 칸에 들어갈 말로 다음 중 옳은 것은 무엇인가?

 

① 톱니효과

② 피셔효과

③ 전시효과

④ 관성효과

 

Q10. 보복관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교역상대국이 우리나라의 권익을 부인하거나 제한할 때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② 상대국 수입품으로 인한 피해상당액 안에서 부과하는 할증관세이다.

③ 관세전쟁으로 확대될 우려가 있다.

④ 우리나라는 일본에 보복관세를 적용한 적이 있다.

 

 

 

정답 및 해설

 

A1. 정답

1번.카르텔(담합)

 

해설 카르텔(담합)은 사업자가 다른 사업자와 공동으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 거래조건, 생산량 등을 결정하거나 제한함으로써 경쟁을 제한하는 행위이다.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공동행위에 해당하며 시장에서 자율적으로 결정되어야 할 가격이나 거래조건을 사업자들이 인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시장경제질서를 왜곡하고 소비자들의 후생을 저해한다. 트러스트는 기업합병, 리니언시는 담합행위를 자진신고하면 면제가 되는 제도, 콘체른은 각종 산업에 다각적으로 독점력을 발휘하는 거대한 기업집단을 의미한다.

 

A2. 정답

1번.닉슨 쇼크

 

해설 미국의 닉슨대통령이 발표한 달러방어정책으로 인해 발생한 충격을 닉슨쇼크라고 한다. 미국은 베트남 전쟁을 포함해 많은 대외 원조 및 군사비 지출로 인해 경제력이 크게 낮아졌다. 이 과정에서 미국의 금 보유고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닉슨 대통령은 금과 달러의 교환 정지, 10%의 수입 과징금의 실시 등을 포함하는 달러방어정책을 내놓게 되었다. 닉슨 쇼크는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일본, 중남미 등에 큰 충격을 주었고, 고정환율제에서 변동환율제로 바뀌는 전환점이 되었다.

 

A3. 정답

1번.퍼펙트 스톰

 

해설 퍼펙트 스톰은 개별적으로는 별로 위협적이지 않은 자연재해 현상이 동시에 발생하면서 엄청난 파괴력을 갖는 현상을 의미하는 자연과학 용어이다. 경제에서는 두 가지 이상의 악재가 동시에 발생해 그 영향력이 더욱 커지는 현상을 지칭한다. 2011년 6월,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가 2013년 미국의 더블딥,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유럽 재정위기 등으로 퍼펙트 스톰이 세계경제를 강타할 것이라고 예측한 바 있다.

 

A4. 정답

1번.식료품비

 

해설 총가계 지출액 중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율. 일반적으로 식료품은 소득의 높고 낮음에 관계없이 반드시 얼마만큼 소비해야 하며 동시에 어느 수준 이상은 소비할 필요가 없는 재화이다. 그러므로 저소득가계라도 반드시 일정한 금액의 식료품비 지출은 부담하여야 하며, 소득이 증가하더라도 식료품비는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이러한 까닭에 식료품비가 가계의 총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소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1857년 독일의 통계학자 엥겔(Ernst Engel)이 가계지출을 조사한 결과 이러한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그의 이름을 따서 이러한 경향을 ‘엥겔의 법칙’, 그리고 식료품비가 가계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엥겔지수라고 부르게 되었다.

 

A5. 정답

4번.튀니지

 

해설 멕시코(Mexico)ㆍ인도네시아(Indonesia)ㆍ대한민국(South Korea)ㆍ터키(Turkey)를 지칭한다. 짐 오닐 골드만삭스 자산운용회장이 2012년 브릭스를 대체하는 유망한 투자국으로 이 네 나라를 언급하였다.

 

A6. 정답

4번.특히 기술제품을 대상으로 한다.

 

해설 공정무역이란 국가간에 동등한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무역을 말한다. 특히 농산물을 대상으로 한다. 기존의 국제무역체계로는 세계의 가난을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인식하에 확산된 국제적인 사회운동이다. 가난한 제3세계 생산자들이 만든 환경 친화적 상품의 직거래를 통해 공정한 가격에 구입하여 빈국의 생산자들이 가난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A7. 정답

2번.미국 제조업 경제활동을 미리 볼 수 있다.

 

해설 ISM제조업지수를 통해 미국 제조업 경제활동을 미리 볼 수 있다. - 회사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수치화한 것으로 소비자들의 선호도와는 관계가 없다. - 생산, 고용, 원자재 외에 신규주문, 재고에 대해서도 조사한다. - 매월 실시하는 설문조사이다.

 

A8. 정답

2번.긴급수입제한조치(Safe Guards)

 

해설 세이프 가드는 특정상품의 급격한 수입 증가로부터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 수입을 제한하는 조치이다. 유럽공동체(EC)의 수입 감시 제도는 역외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급증하여 역내 산업에 중대한 피해를 줄 것이 예상될 경우 긴급수입제한권의 발동을 인정하고 있다. '세이프가드 조항' 또는 '에스케이프 조항'으로 불리는 GATT 제19조는 역시 같은 경우에 수입수량 제한이나 관세인상 등의 수입제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A9. 정답

1번.톱니효과

 

해설 톱니효과는 한번 올라간 소비 수준이 쉽게 감소하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소비의 상대적 안정성으로 인해 경기후퇴로 소득이 줄어든다 하더라도 소비가 같은 속도로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소비가 경기후퇴를 억제하는 일종의 톱니작용을 하게 된다는 데서 톱니효과라고 한다.

 

A10. 정답

4번.우리나라는 일본에 보복관세를 적용한 적이 있다.

 

해설 교역상대국이 우리나라의 수출물품 등에 대하여 관세 또는 무역에 관한 국제협정이나 양자간의 협정 등에 규정된 우리나라의 권익을 부인 또는 제한하거나 기타 차별적인 조치를 취하는 행위를 함으로써 우리나라의 무역이익이 침해되는 때에 해당 수입 물품에 대하여 피해상당액의 범위 안에서 보복적으로 부과하는 할증관세를 말한다. 보복관세의 부과는 상대방 국가의 보복관세를 유발하여 관세전쟁으로까지 확대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발생되는 사례가 거의 없으며, 우리나라에서도 현행 관세법상 보복관세의 규정은 있으나 실제로 적용된 경우는 없다.


목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