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경제퀴즈

퀴즈로 배우는 시사.경제 [주제:경제] 난이도 매우 어려움

by 몽비우스 2023. 12. 16.

퀴즈로 배우는 시사.경제 [주제:경제] 난이도 어려움

기획재정부 경제배움이e에서 운영하는 퀴즈로 배우는 시사.경제에서 뽑아낸 문제입니다. 경제를 주제로 한10문제입니다. 여러분의 실력을 테스트해 보세요. 정답은 문제를 다 풀고 나면 해설과 함께 본문 하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획재정부 경제배움이e 경제배움e (econedu.go.kr)

퀴즈로-배우는-시사경제
퀴즈로 배우는 시사경제

 

경제 분야 10문제

Q1.   그레이 스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① 자주 그리고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형악재를 일컫는다.

② 발생확률이 적지만 시장에 큰 타격을 주는 사건을 칭한다.

③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일어난 빈번한 악재들로 인해 생겨난 개념이다.

④ 예측불가능하며 마땅한 해결책이 없는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시장을 말한다.

 

Q2.   국제간의 거래에서 거래계약 당시의 환율과 거래대금의 결재시의 환율이 달라져서 발생하는 손익을 ( )이라고 한다. 다음 중 빈 칸에 들어가기 가장 적절한 용어는?

 

① 환 덤핑

② 경상이익

③ 화폐착각

④ 환차손익

 

Q3.   ( )은(는) 화폐 가치의 증감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다음 중 빈 칸에 들어갈 용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① 피구효과

② 소프트패치

③ 화폐착각

④ 화폐무지

 

Q4.   1960년대 말부터 미국의 국제수지가 크게 악화돼 달러의 가치가 크게 떨어지기 시작하자 미국은 적극적인 달러방어정책을 펼친 바 있다. 이러한 정책은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일본, 중남미 등에 큰 충격을 주었고, 고정환율제에서 변동환율제로 바뀌는 전환점이 되기도 하였다. 이 충격을 일컫는 말은 당시 미 대통령의 이름을 따와서 지어졌는데, 이것은 무엇인가?

 

① 닉슨 쇼크

② 클린턴 쇼크

③ 트루먼 쇼크

④ 케네디 쇼크

 

Q5.   다음 중 고정환율제도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환율을 일정 범위 내로 고정시켜서 안정을 꾀하는 제도이다.

② 환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경제의 안정성이 보장된다.

③ 국내 인플레이션과 신용확대에 대처하기 쉽다.

④ 환율 변동에 의한 국제수지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Q6.   다음 중 FTA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① 외국과의 경쟁에서 국내산업을 보호할 목적으로 하는 무역정책의 일환이다.

② 지역무역협정(Regional Trade Agreement)과는 다른 의미의 협정이다.

③ 미국, 캐나다, 멕시코 간에 결성된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가 대표적이다.

④ FTA는 가장 높은 수준의 경제통합 단계이다.

 

Q7.   ( )은(는) 한번 올라간 소비 수준이 쉽게 감소하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빈 칸에 들어갈 말로 다음 중 옳은 것은 무엇인가?

 

① 톱니효과

② 피셔효과

③ 전시효과

④ 관성효과

 

Q8.   다음 중 다른 나라에서 원재료나 반제품을 수입하고, 이를 가공ㆍ제조함으로써 더 높은 수준의 반제품 또는 완제품으로 만들어 수출하는 형태의 무역은 무엇인가?

 

① 보호무역

② 자유무역

③ 가공무역

④ 공정무역

 

Q9.   통화불일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① 외화로 표시된 부채와 자국통화로 계산된 자산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이다.

② 통화 불일치는 금융위기를 초래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③ 아시아와 신흥개발국의 금융위기의 한 요인으로 여겨진다.

④ 외국에서 달러를 빌린 기업은 환율이 하락할 경우, 부채가 감소하여 이득을 볼 수 있다.

 

Q10.   이 정책은 밀턴 프리드먼 등의 시카고학파가 주장해 온 자유경쟁시장 메커니즘으로의 복귀로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 단기적인 자극보다는 근본적인 활력을 위해 세출의 삭감, 소득세의 대폭 감세, 기업에 대한 정부 규제의 완화, 고금리 정책 등을 추진한 것이다. 이 경제 정책의 이름은 무엇인가?

 

① 레이거노믹스

② 아베노믹스

③ 뉴딜정책

④ 대처리즘

 

정답 및 해설

A1. 정답

4번.예측불가능하며 마땅한 해결책이 없는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시장을 말한다.

 

해설 그레이 스완은 자주 그리고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형 악재이다. 검은 백조(Black Swan)에서 파생됐다. 검은 백조는 발생할 확률이 매우 적지만 한 번 발생하면 시장에 큰 충격을 주는 사건을 지칭한다. 그런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대형 악재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이런 현상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예측은 가능하지만, 마땅한 해결책이 없어 항상 위험이 도사리는 시장을 말한다.

 

A2. 정답

4번.환차손익

 

해설 국제간의 거래에서 거래계약 당시의 환율과 거래대금의 결재시의 환율이 달라져서 발생하는 손익을 환차손익이라고 한다. 한국의 수출업자가 다른 나라의 수입업자와 환율 1달러=1,000원일 때 수출계약을 체결하였다고 하자. 그러나 수입업자가 거래대금을 지불할 때의 환율이 1달러=1,100원으로 올랐다면 수출업자는1달러당 100원씩의 환차익을 얻을 수 있다. 반대로 1달러=900원으로 환율이 내리면 수출업자는 1달러당 100원의 환차손을 입게 된다. 해외펀드에 투자한 한국의 투자자는 투자 대상국의 주가지수가 떨어지면 손해를 보기 쉽지만, 환율의 변동에 따른 환차익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이득을 볼 수도 있다.

 

A3. 정답

3번.화폐착각

 

해설 화폐착각은 화폐 가치의 증감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화폐가치는 물가가 상승하면 떨어지고 물가가 하락하면 올라간다. 이처럼 물가수준의 변화는 화폐가치에 영향을 주게 되지만 이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을 화폐착각이라고 한다.

 

A4. 정답

1번.닉슨 쇼크

 

해설 미국의 닉슨대통령이 발표한 달러방어정책으로 인해 발생한 충격을 닉슨쇼크라고 한다. 미국은 베트남 전쟁을 포함해 많은 대외 원조 및 군사비 지출로 인해 경제력이 크게 낮아졌다. 이 과정에서 미국의 금 보유고가 급격히 감소하였고, 닉슨 대통령은 금과 달러의 교환 정지, 10%의 수입 과징금의 실시 등을 포함하는 달러방어정책을 내놓게 되었다. 닉슨 쇼크는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일본, 중남미 등에 큰 충격을 주었고, 고정환율제에서 변동환율제로 바뀌는 전환점이 되었다.

 

A5. 정답

4번.환율 변동에 의한 국제수지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해설 고정환율제도는 환율 변동에 의한 국제수지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없고, 대외부문의 충격이 국내경제를 불안정하게 한다는 단점이 있다.

A6. 정답

3번.미국, 캐나다, 멕시코 간에 결성된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가 대표적이다.

 

해설 상품 및 서비스의 교역에 대한 관세 및 무역장벽을 철폐함으로써 마치 하나의 국가처럼 자유롭게 상품과 서비스를 교역하게 하는 국가간 협정이다. FTA는 지역무역협정(Regional Trade Agreement) 중 하나이며, 가장 낮은 수준의 경제통합 단계이다. 미국, 캐나다, 멕시코 간에 결성된 NAFTA(북미자유무역협정)가 대표적이다. FTA는 협정 체결 국가 간에는 상품과 서비스의 수출입을 자유롭게 허용하는 반면 다른 국가의 상품에 대해서는 WTO에서 허용하는 수출입의 제한조치를 그대로 유지한다. 관세 및 무역장벽 철폐가 FTA 협상의 주요 대상이지만, 최근에는 서비스, 투자, 지적재산권, 정부조달, 경쟁정책, 환경, 노동 등으로 협상 대상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A7. 정답

1번.톱니효과

 

해설 톱니효과는 한번 올라간 소비 수준이 쉽게 감소하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소비의 상대적 안정성으로 인해 경기후퇴로 소득이 줄어든다 하더라도 소비가 같은 속도로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소비가 경기후퇴를 억제하는 일종의 톱니작용을 하게 된다는 데서 톱니효과라고 한다.

 

A8. 정답

3번.가공무역

 

해설 가공무역에 관한 설명이다. 가공무역은 국제무역에서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무역의 형태로서, 위탁가공무역과 수탁가공무역, 녹다운가공무역, OEM가공무역 등으로 나뉜다.

 

A9. 정답

4번.외국에서 달러를 빌린 기업은 환율이 하락할 경우, 부채가 감소하여 이득을 볼 수 있다.

 

해설 외국에서 달러를 빌려 원화로 교환하여 사용하는 기업의 경우 원화 가치가 하락하게 되면 원화를 기준으로 한 부채 규모가 증가하게 되어 부도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통화 불일치는 금융위기를 초래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아시아 금융위기뿐 아니라 멕시코ㆍ러시아ㆍ터키ㆍ브라질ㆍ아르헨티나 등 신흥개발국의 금융위기의 주요인이 통화 불일치 때문이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A10. 정답

1번.레이거노믹스

 

해설 레이거노믹스는 로널드 레이건 미국 대통령의 이름과 Economics의 합성어이다. 제3세계의 희생과 세계적인 빈부격차의 심화가 있었다는 비판은 물론 신자유주의를 표방하였지만 이는 사상 최대의 군비증강과 모순된 면이 있었고 재정적자 급증의 원인이 되었다는 지적도 있다.

 


목 차